와~ 백만년전에 카페에 썼던글... ㅋㅋㅋㅋㅋㅋㅋ
다시 읽어보니 감회가 새롭구만 ㅋㅋㅋ
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
우습게 접근했다가 온갖 모든 종류의 오류를 봐가면서 .....
하루를 완전 쇼를 하면서 성공했습니다... 내년이면 나름 4년차인데 ....
이거가지고 하루를.... 완전 급우울 ;;;;
네이버 뒤져가면서 했는데 가장 중요하면서 요점들이 다 빠져있어서
초보 분들이 보기 힘들거 같아서 큰맘먹고 글 올려봅니다
막 시작하는 분들에게 작은 도움이라도 되었음하네요~ ^^
우선 잡다한거는 다 알아서 하셨을테니
핵심부분만 ....
우선 고양이 설치후~ server.xml에서 작성부분
좀 공부하신 분들은 자기 부분을 어디다 수정해야 되는지 아실겁니다.~
뭐야 소스중 워따 내껄로 바꾸라는겨? 하시는 분들은 삽질 좀 하세요~
다 피와 뼈와 살이 됩니다.ㅋㅋ
(참고 - C:\Tomcat\conf에 xml 파일들 있습니다.)
<Resource
name="jdbc/mysql"
type="javax.sql.DataSource"
password="1234"
driverClassName="com.mysql.jdbc.Driver"
maxIdle="2"
maxWait="5000"
username="root"
url="jdbc:mysql://localhost:3306/spo"
maxActive="4"/>
문제는 이렇게 만들어놓고선 xml 어디 부분에다가 집어넣어야 하느냐!!!
고양이 설치후에 처음에 서버.xml 까보면
<GlobalNamingResources>
<Environment
name="simpleValue"
type="java.lang.Integer"
value="30"/>
<Resource
auth="Container"
description="User database that can be updated and saved"
name="UserDatabase"
type="org.apache.catalina.UserDatabase"
pathname="conf/tomcat-users.xml"
factory="org.apache.catalina.users.MemoryUserDatabaseFactory"/>
</GlobalNamingResources>
요 부분이 있습니다~
</GlobalNamingResources> 위에다가 작성해주시면 됩니다~
전 처음에는 맞게했다가 계속 안되서 제일 위에 밑에 옆에,,, 여튼 다 붙여봤다는...완전 삽질... ㅜ,.ㅜ
그리고선 수많은 네이버인들이 이 부분에 대하여 작성해주셨는데
진짜 솔직히 말하면 다 슈레기~같은 것뿐이라서!! 진정한 초보를 위한 글들은 별로 없더군요~!
기본을 말해줘야 따라하지!! 중간부터 말해주면 못 따라하잖아!! 속으로 막 그랬다는 ;;;
여튼 바로 이거 !!
이것도 xml에 같이 추가되어 있어야 합니다!!
지식인들 보면 Context에다 넣어라 등등 (내게는 이렇게 보였음 --> ㅂㅈㄷ견모암ㄴ오ㅁㄴㅇㄻㅈㄷㄱ머ㅏ노어ㅏㅗㅁ )
뭐 별소리 다 되어있는데
막상 처음에 server.xml까면은 Context 부분이 아예 없다는 ㅡㅡ;;
여튼 소스얘를 워따 넣어야 하느냐!!
<Context path="/spo" docBase="C:\Tomcat\webapps\spo" debug="0" reloadable="true">
<ResourceLink name="jdbc/mysql" global="jdbc/mysql" type="javax.sql.DataSource"/>
</Context>
알아도 위치를 몰라서 또 버버대실 분들을 위하여~~
위치는 바로~ 요기~!
</Host>
위에~! Context 얘가 Host속성에 포함된 녀석이라네요~
역시 이것몰라서 또 생삽질을 ㅡㅡ;; ㅋㅋㅋ
여튼 이렇게 두개만 넣어주면 셋팅은 완료입니다
쉽죠? 이거 위치만 틀려도 에러가 아주 쇼를 합니다
진짜로 어쩔때는 톰캣 무한루프도 걸린다는 ;;; 후덜덜
여튼 이렇게 넣어주고선~!!!
커넥터를 넣어줘야겠지요???
이것도 아주 쇼를 또 존나!!! 으....
일단 받는것까지는 다들 알아서 잘 받았을테니.....
받아보시면 알겠지만 zip파일하고 리눅스용이 제공됩니다
(참고로 우선 필자는 윈도우 용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)
여튼
C:\Tomcat\common\lib
여따가 넣어야하는데!!
문제는 그냥 넣느냐? 압축풀고 넣느냐?
구라안치고 안되기 시작하면 여기저기 의심이 가기 때문에여기서도 삽질 1000만번... ㅠㅜ
참고로 어떤분은 확장자를 jar 바꿔서 올리시라고 한 지식인이 있는데...
감사합니다 덕분에 삽질 한참 했습니다;;
안됩니다!
오라클 ? MS? 등등! 걔들은 될지 모르겠으나!!
썅~MY는 안된다고요!!!
여튼 압축풀고...
그 안에 있는 자르파일 mysql-connector-java-5.0.8-bin.jar <-- 얘만 빼서 lib폴더에 넣으시면 됩니다....
진짜 어이 없었다는...
압축풀어보면 ant파일까지 있고 이클립스에 붙여 넣음 에러뜨고...
완전 안습...이딴거 다 우선은 신경쓰지마십시요
나중에 그 부분들 쓸데 있겠지만 우선 딱 데이타소스 연결 부분에서는 필요없습니다.
여튼 이것까지 해주면 설정은 다 됐고!!
마지막!!! 확인부분!!!
jsp페이지에서...(물론 자바쪽에서 확인해도 되지만 여튼..)
<%@ page import="java.sql.*" %>
<%@ page import="javax.sql.*" %>
<%@ page import="oracle.jdbc.driver.*" %>
<%@ page import="javax.naming.*" %>
<%@ page import="javax.sql.*" %>
<%@ page import="javax.rmi.PortableRemoteObject" %>
<%
Context initContext = new InitialContext();
Context envCtx = (Context) initContext.lookup("java:comp/env");
DataSource ds = (DataSource) envCtx.lookup("jdbc/tics");
Connection con = ds.getConnection();
String value = "";
try{
String sql = "select sysdate from dual ";
Statement stmt = con.createStatement();
ResultSet rs = stmt.executeQuery(sql);
while(rs.next()){
value = rs.getString(1);
}
}catch(Exception e){
e.printStackTrace();
}finally{
if(con != null) try{ con.close();} catch(Exception e) { }
}
out.println("count : "+value);
%>
이렇게 확인해주시면 됩니다..
이거는 다 아실테지만
그냥 넣어봤어요~ㅋㅋ
여하튼 이렇게 하여!!
데이터소스 생성 완료!!
별거 아닌거 같지만 이것때문에 1박을 넘게 고생한걸 생각하면...
진짜 ...
신입이신 분들도 나보다는 나을거라는... ;;;
여튼 이리하야~ 글을 마칩니다
이 글이 누군가에는 큰, 또는 작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~~
그리고 야근 안하는 세상이 오기를 바라며!!! 아자 화이팅!
'IT > 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ar 압축 및 풀기~ (0) | 2021.05.12 |
---|---|
웹로직과 톰캣의 차이에서 오는 개 삽질~ (0) | 2021.05.12 |
Failed to load or instantiate TagLibraryValidator class: org.apache.taglibs.standard.tlv.JstlCoreTLV (0) | 2021.05.12 |
tomcat server.xml에서 oracle과 mssql 설정부분~ (0) | 2021.05.12 |
windows 2008 server r2 에서 방화벽 예외 포트추가~ (0) | 2021.05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