광고 한 번씩 클릭해 주시면 글 쓰는데 큰 힘이 됩니다 (제발~)
728x90

IT 121

웹 표준, 웹 호환성, 웹 접근성 진단방법 간략 정리

웹 표준 ▶ https://validator.w3.org/ 사이트 접속 후 W3C Markup Validator service를 사용하여 점검 ▶ http://www.css-validator.org/validator.html.ko 사이트 접속 후 W3C CSS Validator service를 사용하여 점검 ​ 웹 호환성 ▶ 브라우저 부가 기능, 크로스 브라우징 테스트를 통한 점검.(한마디로 수동 점검) ​ 웹 접근성 ▶ 여러방법이 있는데 내가 쓰는 방법은 크롬(또는 파이어폭스) 브라우저의 확장 프로그램에서 오픈왁스(open-wax)를 설치하여 점검. (아래 이미지 참조) ​

IT/Etc. 2021.04.30

웹 표준, 웹 호환성, 웹 접근성 개념 초간단 요약

웹 표준, 웹 호환성, 웹 접근성 개념에 대해서 짧지만 굵게 요약을 해보자면~~ 웹 표준▶ 브라우저의 종류나 버전에 상관없이 모든 사용자들이 동일한 웹사이트를 볼 수 있도록하는 웹 표준기술 작업을 말한다.​웹 호환성▶ 표준 웹 기술을 사용하여 운영체제, 브라우저 등 어느 한쪽으로 최적화되거나 종속되지 않도록 공통 요소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을 말한다.​웹 접근성▶ 장애인, 고령자 등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말한다. 이렇다고 요약 할 수 있다. 그렇다면 점검 방법은?!!! 점검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글에 작성~ ㅎㅎ

IT/Etc. 2021.04.30
728x90